공자의 제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자의 제자들은 공자가 세상을 떠난 후 다양한 분파로 나뉘어 유교 사상의 발전에 기여했다. 공자의 주요 제자로는 덕행, 언어, 정사, 문학 분야에서 뛰어난 공문십철이 있으며, 안회, 민손, 재여, 자공 등이 대표적이다. 공자 사후에는 증자를 중심으로 한 내성파와 자유, 자하, 자장을 중심으로 한 숭례파로 나뉘어 각기 다른 사상을 발전시켰다. 맹자는 증자의 사상을 계승하여 성선설을 주장했고, 순자는 숭례파의 영향을 받아 성악설을 제시하며 법가의 사상적 기반을 마련했다. 이러한 유교 분파의 발전은 중국 사회와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자의 제자 - 자로
자로는 기원전 542년경 노나라에서 태어난 공자의 제자로, 공자를 호위하며 14년간 그의 가르침을 받았으나 위나라에서 괴외의 난에 휘말려 전사하고 젓갈로 담가지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강직하고 용감한 인물이다. - 공자의 제자 - 증자 (사상가)
증자는 공자의 제자로서 효를 강조하고 《효경》과 《대학》의 전파에 기여했으며, 맹자의 스승인 자사를 가르쳐 유교 정통 계보를 잇는 데 영향을 미친 사상가이다. - 제자백가 - 장자
장자는 중국 전국 시대의 철학자로, 《장자》를 저술하여 개인의 자유와 무위자연의 삶을 추구했으며 노장사상으로 도교에 영향을 미쳤다. - 제자백가 - 도덕경
《도덕경》은 노자가 지은 도가 사상의 핵심 경전으로, 도(道)와 덕(德)을 중심으로 무위자연(無爲自然)을 강조하며 유가 사상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시하고 후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판본과 해석을 통해 동서양에서 현대 사회의 지혜를 담은 문헌으로 평가받는다.
공자의 제자 | |
---|---|
인물 정보 | |
![]() | |
관련 인물 | 공자 |
주요 사상 | 유교 |
공자의 제자 목록 | |
2. 공자의 주요 제자
사기 〈중니 제자 열전〉에는 공자의 제자 77명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만, 그중 35명에 대해서만 비교적 자세한 내용이 전해진다. 이들에 대한 기록은 《공자가어》 및 《논어》 주석 등에서 주장하는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다음은 《사기》에 기록된 주요 제자들의 명단과 간략한 설명이다.
이름 | 자(字) | 출신지 | 비고 |
---|---|---|---|
안회 | 자연(子淵) | 노 | 공자가 가장 아끼는 제자. 29세에 머리카락이 하얗게 변했고 32세에 사망. 한나라 고조가 제사를 지냄. 명나라 가정 시대 9년(1530년)에 "성인의 계승자" 칭호 부여. |
민손 | 자건(子騫) | 노 | 도덕적 순수함과 부모에 대한 사랑으로 칭송. 특히 계모에게 효도한 이야기로 유명. |
염경 | 백우(伯牛) | 노 | 공자가 노나라 사구(司寇)가 되었을 때 중도(中都)의 읍재(邑宰)에 임명. |
염옹 | 중궁(仲弓) | 염경과 같은 씨족 | 좋지 않은 아버지를 두었지만 정직함으로 명성이 있었음. |
염구 | 자유(子有) | 염경, 염옹과 친척 관계 | 다재다능하고 뛰어난 재능으로 유명. 노나라에서 관직에 올랐으나, 권력을 찬탈한 대신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함. |
중유 | 자로(子路), 계로(季路) | 노 변(卞) 출신, 야인 혈통 | 용맹함으로 유명. 공자는 자로의 용기를 칭찬하면서도 균형 잡힌 덕목의 필요성을 강조. 보 현의 현령을 지냄. 위나라에서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함. |
재여 | 자아(子我) | 노나라 | 언변이 뛰어났으나, 《논어》에는 부정적으로 묘사. 제나라에서 벼슬을 했고, 반란에 가담하여 가족 전체가 파멸됨. |
단목사 | 자공(子貢) | 위 | 정신적 예리함과 재능을 갖춘 뛰어난 웅변가이자 정치가. 상인 출신으로 부를 쌓고 도덕적 자기 수양을 함. 신양현의 현령을 지냄. |
언언 | 자유(子游) | 오 | 문학적 업적으로 두각을 나타냄. 무창의 읍재로 백성들에게 예와 음악을 가르침. |
복상 | 자하(子夏) | 온(溫) 또는 위(魏) 출신 | 폭넓게 독서를 하고 꼼꼼한 학자였지만, 마음의 이해력이 부족한 사람으로 묘사. 《모시(毛詩)》에 그의 철학적 견해가 담겨 있다고 함. |
전손사 | 자장(子張) | 진나라 | 훌륭한 공적을 자랑하지 않고, 고귀한 지위를 기뻐하지 않으며, 건방지지도 게으르지도 않으며, 의존하는 사람들에게 거만함을 보이지 않음. |
증삼 | 자유(子輿) 또는 자여(子與) | 노 남무 출신 | 16세 때 초로 보내져 공자에게서 가르침을 받음. 지극한 효심으로 유명. 《효경》을 저술 및/또는 편집, 《대학》의 전파와도 관련. |
담대멸명 | 자우(子羽) | 무창(吳昌) 출신 | 매우 추한 외모 때문에 공자가 처음에는 재능을 낮게 평가. 학업을 마친 후 양쯔강까지 남쪽으로 여행하여 300명의 제자를 모음. |
복부제 | 자천(子賤) | 노나라 | 단부의 읍재를 쉽게 수행. 사람들은 후에 부불제를 군자로 칭송. |
원헌 | 자사(子思) | 송나라 또는 노나라 | 청렴하고 겸손하며, 극심한 가난 속에서도 스승의 가르침에 기뻐함. 공자 사후 위나라에서 은둔. |
공야장 | 자장(子長) 또는 자지(子之) | 노나라 또는 제나라 | 공자의 사위. 죄인으로 감옥에 갇힌 적이 있지만, 공자는 그가 실제 죄를 저지르지 않았다고 함. 새와 대화하는 능력이 있었다는 전설이 있음. |
남궁괄 | 자용(子容) | 주 왕조 궁정에 간 남궁장숙과 동일 인물일 가능성. 궁궐 화재 시 고대 문헌(특히 주례)을 구함. | |
공석애 | 계차(季次) 또는 계침(季沉) | 노나라 또는 제나라 | 찬탈을 통해 권력을 잡은 귀족 가문에서 벼슬 제안을 거절하고 가난을 견딤. |
증점 | 희(皙) | 증삼의 아버지 | 논어 11:25에서 음악가로 묘사되며, 소박한 정치적 포부를 가짐. |
안무요 | 루(路) | 안회의 아버지 | |
상구 | 자목(子木) | 주역을 공자에게서 전수받아 전한 시대까지 전승. | |
고시 | 자고(子羔) 또는 계고(季羔) | 제(齊)나라 또는 위(衛)나라 | 키가 작고 못생겼지만 지적이고 재능이 있었음. 위나라 형법관으로 죄수 처벌. |
칠조개 | 자개(子開), 자약(子若), 자수(子修/脩) | 채 또는 노나라 | 서경 학자. 공자는 그의 겸손함과 현실적인 평가에 만족. |
공백요 | 자주(子周) | 논어 14:33에 등장, 자로를 공자에게 비방. 공자의 제자인지 논쟁이 있음. | |
사마경 | 자우(子牛) 또는 서경(黍耕) | 송나라 | 언변이 뛰어남. 형의 부정적인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 |
번수 | 자지(子遲) | 제나라 또는 노나라 | 젊은 시절 군사 지휘관으로 두각. |
유약 | 자약(子若) | 노나라 | 기억력이 뛰어나고 고대 문물을 좋아함. 공자 사후 다른 제자들이 공자처럼 섬기려 했으나 증삼의 반대로 무산. |
공서적 | 자화(子華) | 노나라 | 예법에 대한 지식이 뛰어남. 공자는 그가 궁정에서 손님 접대에 능숙하다고 칭찬. |
무마시 | 자기(子期) 또는 자기(子旗) | 진나라 또는 노나라 | 공자가 비가 올 것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줌. |
양전 | 숙어(叔魚) | 제나라 | 아들이 없다는 것에 실망하여 아내와 이혼하려 했으나 상주의 충고를 따름. |
안행 | 자류(子柳) | 노나라 | |
염유 | 자로(子魯), 자증(子曾), 자어(子魚) | 노나라 | |
조휼 | 자순(子循) | 채나라 | |
백건 | 자희(子皙/析) 또는 자개(子楷) | 노나라 | |
공손룡 | 자석(子石) | 위(魏), 초(楚), 또는 조(趙) | 부모, 형제, 친구의 요구 때문에 배움에 틈을 낼 수 없다고 말함. |
염계 | 자산 | ||
공조구자 | 자지 | ||
진조 | 자남 | ||
칠조차 | 자렴 | ||
안고 | 자교 | ||
칠조도보 | |||
양사적 | 자도 | ||
상택 | |||
석작촉 | 자명 | ||
임부제 | 선 | ||
공량유 | 자정 | ||
후처 | 자리 | ||
진염 | 개 | ||
공하수 | 승 | ||
해용잠 | 자석 | ||
공견정 | 자중 | ||
안조 | 양 | ||
교선 | 자가 | ||
구정강 | |||
한보흑 | 자색 | ||
진상 | 자비 | ||
신당 | 주 | ||
안지복 | 숙 | ||
영기 | 자기 | ||
조성 | 자기 | ||
좌인영 | 행 | ||
연급 | 사 | ||
정국 | 자도 | ||
진비 | 자지 | ||
시지상 | 자항 | ||
안쾌 | 자성 | ||
보숙승 | 자거 | ||
원항적 | |||
악해 | 자성 | ||
염결 | 용 | ||
숙중회 | 자기 | ||
안하 | 염 | ||
적흑 | 석 | ||
방손 | 자렴 | ||
공충 | 자멸 | ||
공서여여 | 자상 | ||
공서잠 | 자상 |
2. 1. 공문십철(孔門十哲)
사기 〈중니 제자 열전〉에 따르면, 공문십철(孔門十哲)은 공자의 제자 중 특히 뛰어난 열 명의 제자를 가리킨다. 이들은 유교에서 사성 및 배향자와 함께 가장 존경받는 인물들이다.- 안회(顏回, 자는 자연): 공자보다 30세 어렸으며, 공자가 가장 아끼는 제자였다. 29세에 머리카락이 하얗게 세고 32세에 요절했다.[3][4]
- 민손(閔損, 자는 자건): 공자보다 15세 어렸다.
- 염경(冉耕, 자는 백우)
- 염옹(冉雍, 자는 중궁)
- 염구(冉求, 자는 자유): 공자보다 29세 어렸다.
- 중유(仲由, 자는 자로): 공자보다 9세 어렸다.
- 재여(宰予, 자는 자아)
- 단목사(端木賜, 자는 자공): 공자보다 31세 어렸다.
- 언언(言偃, 자는 자유): 공자보다 45세 어렸다.
- 복상(卜商, 자는 자하): 공자보다 44세 어렸다.
위 명단은 《사기》를 토대로 작성된 것으로, 《공자가어》 및 《논어》 주석 등에서 주장하는 제자들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2. 2. 72현(七十二賢)
《사기》 〈중니 제자 열전〉과 《공자가어》, 《논어》 주석 등을 바탕으로 72현의 명단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이름 | 자(字) | 출생 및 사망 (공자와의 나이 차이) | 기타 |
---|---|---|---|
안회 | 자연(子淵) | 노 출신, 공자보다 30세 연소 | 공자가 가장 아끼는 제자, 매우 어릴 때 제자가 됨. 29세에 머리카락이 하얗게 변했고 32세에 사망. 한나라 고조가 제사를 지냄. 명나라 가정 시대 9년(1530년)에 "성인의 계승자" 칭호 부여. |
민손 | 자건(子騫) | 노 출신, 공자보다 15세 연소(다른 자료에서는 50세 연소) | 도덕적 순수함과 부모에 대한 사랑으로 칭송. 특히 계모에게 효도한 이야기로 유명. |
염경 | 백우(伯牛) | 노 출신, 공자보다 7세 연소 | 공자가 노나라 사구(司寇)가 되었을 때 중도(中都)의 읍재(邑宰)에 임명. |
염옹 | 중궁(仲弓) | 염경과 같은 씨족, 공자보다 29세 연소 | 좋지 않은 아버지를 두었지만 정직함으로 명성이 있었음. |
염구 | 자유(子有) | 염옹과 동갑, 공자보다 29세 연소 | 다재다능하고 뛰어난 재능으로 유명. 노나라에서 관직에 올랐으나, 권력을 찬탈한 대신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함. |
중유 | 자로(子路), 계로(季路) | 노의 변(卞) 출신, 야인의 혈통, 공자보다 9세 연소 | 용맹함으로 유명. 공자는 자로의 용기를 칭찬하면서도 균형 잡힌 덕목의 필요성을 강조. 보 현의 현령을 지냄. 위나라에서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함. |
재여 | 자아(子我) | 노나라 출신, 나이 불명 | 언변이 뛰어났으나, 《논어》에는 부정적으로 묘사. 제나라에서 벼슬을 했고, 반란에 가담하여 가족 전체가 파멸됨. |
단목사 | 자공(子貢) | 위 출신, 공자보다 31세 연소 | 정신적 예리함과 재능을 갖춘 뛰어난 웅변가이자 정치가. 상인 출신으로 부를 쌓고 도덕적 자기 수양을 함. 신양현의 현령을 지냄. |
언언 | 자유(子游) | 오 출신, 공자보다 45세 연소 | 문학적 업적으로 두각을 나타냄. 무창의 읍재로 백성들에게 예와 음악을 가르침. |
복상 | 자하(子夏) | 온(溫) 또는 위(魏) 출신, 공자보다 45세 연소 | 폭넓게 독서를 하고 꼼꼼한 학자였지만, 마음의 이해력이 부족한 사람으로 묘사. 《모시(毛詩)》에 그의 철학적 견해가 담겨 있다고 함. |
전손사 | 자장(子張) | 진나라 출신, 공자보다 48세 연소 | 훌륭한 공적을 자랑하지 않고, 고귀한 지위를 기뻐하지 않으며, 건방지지도 게으르지도 않으며, 의존하는 사람들에게 거만함을 보이지 않음. |
증삼 | 자유(子輿) 또는 자여(子與) | 노의 남무 출신, 공자보다 46세 연소 | 16세 때 초로 보내져 공자에게서 가르침을 받음. 지극한 효심으로 유명. 《효경》을 저술 및/또는 편집, 《대학》의 전파와도 관련. |
담대멸명 | 자우(子羽) | 무창(吳昌) 출신, 공자보다 39세 또는 49세 연소 | 매우 추한 외모 때문에 공자가 처음에는 재능을 낮게 평가. 학업을 마친 후 양쯔강까지 남쪽으로 여행하여 300명의 제자를 모음. |
복부제 | 자천(子賤) | 노나라 출신, 공자보다 30세, 40세 또는 49세 연소 | 단부의 읍재를 쉽게 수행. 사람들은 후에 부불제를 군자로 칭송. |
원헌 | 자사(子思) | 송나라 또는 노나라 출신, 공자보다 36세 연소 | 청렴하고 겸손하며, 극심한 가난 속에서도 스승의 가르침에 기뻐함. 공자 사후 위나라에서 은둔. |
공야장 | 자장(子長) 또는 자지(子之) | 노나라 또는 제나라 출신 | 공자의 사위. 죄인으로 감옥에 갇힌 적이 있지만, 공자는 그가 실제 죄를 저지르지 않았다고 함. 새와 대화하는 능력이 있었다는 전설이 있음. |
남궁괄 | 자용(子容) | 주 왕조의 궁정에 간 남궁장숙과 동일 인물일 가능성. 궁궐 화재 시 고대 문헌(특히 주례)을 구함. | |
공석애 | 계차(季次) 또는 계침(季沉) | 노나라 또는 제나라 출신 | 찬탈을 통해 권력을 잡은 귀족 가문에서 벼슬 제안을 거절하고 가난을 견딤. |
증점 | 희(皙) | 증삼의 아버지 | 논어 11:25에서 음악가로 묘사되며, 소박한 정치적 포부를 가짐. |
안무요 | 루(路) | 안회의 아버지, 공자보다 6세 연소 | |
상구 | 자목(子木) | 주역을 공자에게서 전수받아 전한 시대까지 전승. | |
고시 | 자고(子羔) 또는 계고(季羔) | 제(齊)나라 또는 위(衛)나라 출신, 공자보다 30세 또는 40세 연소 | 키가 작고 못생겼지만 지적이고 재능이 있었음. 위나라 형법관으로 죄수 처벌. |
칠조개 | 자개(子開), 자약(子若), 자수(子修/脩) | 채 또는 노나라 출신 | 서경 학자. 공자는 그의 겸손함과 현실적인 평가에 만족. |
공백요 | 자주(子周) | 논어 14:33에 등장, 자로를 공자에게 비방. 공자의 제자인지 논쟁이 있음. | |
사마경 | 자우(子牛) 또는 서경(黍耕) | 송나라 출신 | 언변이 뛰어남. 형의 부정적인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해 노력. |
번수 | 자지(子遲) | 제나라 또는 노나라 출신, 공자보다 36세 또는 46세 연소 | 젊은 시절 군사 지휘관으로 두각. |
유약 | 자약(子若) | 노나라 출신, 나이 불명 | 기억력이 뛰어나고 고대 문물을 좋아함. 공자 사후 다른 제자들이 공자처럼 섬기려 했으나 증삼의 반대로 무산. |
공서적 | 자화(子華) | 노나라 출신, 공자보다 42세 연소 | 예법에 대한 지식이 뛰어남. 공자는 그가 궁정에서 손님 접대에 능숙하다고 칭찬. |
무마시 | 자기(子期) 또는 자기(子旗) | 진나라 또는 노나라 출신, 공자보다 30세 연소 | 공자가 비가 올 것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줌. |
양전 | 숙어(叔魚) | 제나라 출신, 공자보다 29세 또는 39세 연소 | 아들이 없다는 것에 실망하여 아내와 이혼하려 했으나 상주의 충고를 따름. |
안행 | 자류(子柳) | 노나라 출신, 공자보다 46세 연소 | |
염유 | 자로(子魯), 자증(子曾), 자어(子魚) | 노나라 출신, 공자보다 50세 연소 | |
조휼 | 자순(子循) | 채나라 출신, 공자보다 50세 연소 | |
백건 | 자희(子皙/析) 또는 자개(子楷) | 노나라 출신, 공자보다 50세 연소 | |
공손룡 | 자석(子石) | 위(魏), 초(楚), 또는 조(趙) 출신, 공자보다 53세 연소 | 부모, 형제, 친구의 요구 때문에 배움에 틈을 낼 수 없다고 말함. |
염계 | 자산 | ||
공조구자 | 자지 | ||
진조 | 자남 | ||
칠조차 | 자렴 | ||
안고 | 자교 | ||
칠조도보 | |||
양사적 | 자도 | ||
상택 | |||
석작촉 | 자명 | ||
임부제 | 선 | ||
공량유 | 자정 | ||
후처 | 자리 | ||
진염 | 개 | ||
공하수 | 승 | ||
해용잠 | 자석 | ||
공견정 | 자중 | ||
안조 | 양 | ||
교선 | 자가 | ||
구정강 | |||
한보흑 | 자색 | ||
진상 | 자비 | ||
신당 | 주 | ||
안지복 | 숙 | ||
영기 | 자기 | ||
조성 | 자기 | ||
좌인영 | 행 | ||
연급 | 사 | ||
정국 | 자도 | ||
진비 | 자지 | ||
시지상 | 자항 | ||
안쾌 | 자성 | ||
보숙승 | 자거 | ||
원항적 | |||
악해 | 자성 | ||
염결 | 용 | ||
숙중회 | 자기 | ||
안하 | 염 | ||
적흑 | 석 | ||
방손 | 자렴 | ||
공충 | 자멸 | ||
공서여여 | 자상 | ||
공서잠 | 자상 |
2. 3. 그 외 주요 제자
《사기》 〈중니 제자 열전〉에는 77명의 제자가 기록되어 있으나, 그중 상세한 내용이 있는 제자는 35명뿐이다. 나머지 제자들에 대해서는 이름과 자(字) 정도만 전해진다. 《공자가어(孔子家語)》나 《논어》 주석 등에는 《사기》와 다른 제자 명단이 나타나기도 한다.다음은 《사기》에 기록된 주요 제자들이다.
이름 | 자 | 출신지 | 비고 |
---|---|---|---|
연계(冉季) | 자산(子產) | 노나라 | |
공조구자(公祖勾茲) | 자지(子之) | 노나라 | |
진조(秦祖) | 자남(子南) | 진나라 | |
칠조치(漆雕哆) | 자렴(子斂) | 노나라 | |
안고(顏高) | 자교(子驕) | 노나라 | |
칠조도부(漆雕徒父) | 노나라 | ||
양사적(壤駟赤) | 자도(子徒) | 진나라 | |
상택(商澤) | 자계(子季) | 노나라 | |
석작숙(石作蜀) | 자명(子明) | ||
임부제(任不齊) | 선(選) | 초나라 | |
공량유(公良孺) | 자정(子正) | 진나라 | |
후처(后處) | 자리(子里) | 제나라 | |
진염(秦冉) | 개(開) | 채나라 | |
공하수(公夏首) | 승(乘) | 노나라 | |
계용점(系容蒧) | 자희(子皙) | 위나라 | |
공견정(公肩定) | 자중(子仲) | 노나라, 위나라, 진나라 | |
안조(顏祖) | 양(襄) | 노나라 | |
교단(鄡單) | 자가(子家) | 노나라 | |
구정강(句井疆) | 자강(子疆) | 위나라 | |
한부흑(罕父黑) | 자흑(子黑) | 노나라 | |
진상(秦商) | 자비(子丕) | 노나라 | |
신당(申黨) | 주(周) | 노나라 | |
안지복(顏之僕) | 숙(叔) | 노나라 | |
영기(榮旂) | 자기(子旗) | 노나라 | |
현성(縣成) | 자기(子棋) | 노나라 | |
좌인영(左人郢) | 행(行) | 노나라 | |
연급(燕伋) | 은(恩) | 진나라 | |
정국(鄭國) | 자도(子徒) | 노나라 | |
진비(秦非) | 자지(子之) | 노나라 | |
시지상(施之常) | 자항(子恆) | 노나라 | |
안쾌(顏噲) | 자성(子聲) | 노나라 | |
보숙승(步叔乘) | 자차(子車) | 제나라 | |
원항적(原亢籍) | |||
악해(樂欬) | 자성(子聲) | 노나라 | |
염결(廉潔) | 용(庸) | 위나라 또는 제나라 | |
숙중회(叔仲會) | 자기(子期) | 노나라 | |
안하(顏何) | 염(冉) | 노나라 | |
적흑(狄黑) | 척(晢) | 위나라 또는 노나라 | |
방손(□巽) | 자렴(子歛) | 노나라 | |
공충(孔忠) | 자멸(子蔑) | 맹피의 아들 | |
공서여여(公西輿如) | 자상(子上) | 노나라 | |
공서점(公西蒧) | 자상(子上) | 노나라 |
공자 사후 그의 제자들은 여러 파로 나뉘었다. 《한비자(韓非子)》 〈현학편〉에 따르면, 유가는 자장, 자사, 안씨, 맹씨, 칠조, 중량씨, 손씨, 악정씨 등의 8파(八派)로 나뉘었다.[42]
3. 공자 사후 분파
《맹자》 [공손추] 편에 따르면 공자 사후에 자하, 자장, 자유 3인이 유약을 스승으로 모시려 하자 증자가 강력하게 반대했다. 유약은 공자 제자 가운데 연장자 그룹에 속하며, 《논어》에 그가 예를 중시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마음의 인격(仁)을 닦는 것을 강조한 증자가 반대한 이유이다.
안씨(顔氏)는 안회를 가리키며, 《장자》에 공자와 안회의 대화가 자주 나오는 것으로 보아 장자(莊子) 계열로 이어진 것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한유, 곽말약) 칠조(漆雕)는 《논어》에 '칠조개'로 나오는 사람으로, 유협(遊俠; 무사)의 무리였다. 악정씨(樂正氏)는 《맹자》에 '악정자(樂正子)'로 나오는 맹자 제자를 가리키는 것 같다. 중량씨(仲良氏)는 유래나 계열이 명확하지 않다.
진시황의 스승이자 재상이었던 여불위가 《여씨춘추》를 편찬했다. 이 책은 제자백가의 사상을 종합한 것이지만, 기본적으로는 유가적인 통치를 주장했다. 진시황은 법가의 부국강병책에 따라 7국을 통일하려 했다. 반면 《여씨춘추》는 1년을 12달로 나누어 각 달마다 해야 할 일을 기록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진시황이 확장을 주장했다면, 《여씨춘추》는 안정과 조화를 주장했다. 진시황의 법가 노선과 여불위의 유가 노선이 충돌했고, 결국 진시황은 여불위를 죽였다. 이 대립에서 진나라에 미친 유가의 영향을 알 수 있다.
3. 1. 8파(八派)
《한비자》 〈현학편〉에 따르면, 공자 사후 유가는 자장(子張), 자사(子思), 안씨(顔氏), 맹씨(孟氏), 칠조(漆雕), 중량씨(仲良氏), 손씨(孫氏), 악정씨(樂正氏) 등 8파(八派)로 나뉘었다.[42]
학파 | 설명 |
---|---|
자장(子張)의 학파 | |
자사(子思)의 학파 | 공자의 손자인 자사가 이끈 학파. |
안씨(顔氏)의 학파 | 공자의 제자 안회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며, 《장자》에 공자와 안회의 대화가 자주 나오는 것으로 보아 장자(莊子) 계열로 이어졌다는 견해도 있다. |
맹씨(孟氏)의 학파 | 맹자를 가리킨다. |
칠조(漆雕)의 학파 | 《논어》에 칠조개로 나오는 인물로, 유협(遊俠; 무사)의 무리였다. |
중량씨(仲良氏)의 학파 | 유래나 계열이 명확하지 않다. |
손씨(孫氏)의 학파 | 순자를 가리킨다. 순자는 손경(孫卿)이라고도 불렸다. |
악정씨(樂正氏)의 학파 | 《맹자》에 악정자(樂正子)로 나오는 맹자 제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
이 8파는 다시 증자를 중심으로 한 '''내성파'''(內省派)와 자유·자하를 중심으로 한 '''숭례파'''(崇禮派)로 나뉘었다.[42] 증자의 사상을 이은 것이 맹자이고, 자하·자유 계열을 계승한 사람이 순자이다.
《맹자》 〈등문공〉편에 따르면, 초나라에 허행(許行)을 중심으로 진상(陳相) 등의 무리가 공자의 학설을 따랐는데, 이들은 공자가 초나라에 갔을 때 형성된 유가 그룹으로 보인다. 이들 초나라 그룹의 유자 계열 가운데 후대에 유명한 사람이 《초사》를 쓴 굴원이다.
또한 연나라 임금 쾌(噲)가 재상 자지(子之)에게 군주 자리를 물려주는 선양(禪讓)을 했는데, 이는 맹자나 순자가 이상적인 통치로 강조했던 것을 실행한 것이다. 그러나 그 선양의 결과 반란이 일어나고 쾌와 자지 등은 모두 비극적으로 살해되었다. 이들 역시 유가 학설을 실천한 사람들이다.
초나라와 연나라의 이 두 계열은 《한비자》 〈현학〉편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
3. 2. 2파(二派)
공자의 제자들은 공자가 죽은 뒤에 여러 파로 나뉘었다. 《한비자(韓非子)》 〈현학편〉에 따르면, 유가에는 자장(子張), 자사(子思), 안씨(顔氏), 맹씨(孟氏), 칠조(漆雕), 중량씨(仲良氏), 손씨(孫氏), 악정씨(樂正氏) 등의 8파(八派)가 있었다.[42]이 8파는 다시 증자(曾子)를 중심으로 한 '''내성파'''(內省派)와 자유(子遊), 자하(子夏), 자유(子游), 자장(子張)을 중심으로 한 '''숭례파'''(崇禮派)의 2파로 나뉘었다.[42] 증자의 계열은 맹자가 이었고, 자하와 자유 계열은 순자가 계승하였다. 8파 가운데 맹씨(孟氏)는 맹자, 손씨(孫氏)는 순자를 가리킨다. 순자는 손경(孫卿)이라고도 불렸다.
3. 3. 기타 분파
공자가 죽은 뒤 그의 제자들은 여러 파로 나뉘었다. 《한비자》 〈현학편〉에 따르면, 유가에는 자장(子張), 자사(子思), 안씨(顔氏), 맹씨(孟氏), 칠조(漆雕), 중량씨(仲良氏), 손씨(孫氏), 악정씨(樂正氏) 등의 8파(八派)가 있었다.[42]《맹자》 [공손추] 편에 따르면 공자 사후에 자하, 자장, 자유 3인이 유약을 스승으로 모시려 하자 증자가 강력하게 반대했다. 유약은 공자 제자 가운데 연장자 그룹에 속하며, 《논어》에 그가 예를 중시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마음의 인격(仁)을 닦는 것을 강조한 증자가 반대한 이유이다.
8파는 다시 증자 중심의 '''내성파'''(內省派)와 자유, 자하 중심의 '''숭례파'''(崇禮派)로 나뉘었다.[42] 증자를 이은 것이 맹자이고, 자하 계열을 계승한 사람이 순자이다. 8파 가운데 맹씨(孟氏)는 맹자, 손씨(孫氏)는 순자를 가리킨다. 순자는 손경(孫卿)이라고도 불렸다.
안씨(顔氏)는 안회를 가리키며, 《장자》에 공자와 안회의 대화가 자주 나오는 것으로 보아 장자(莊子) 계열로 이어진 것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 칠조(漆雕)는 《논어》에 '칠조개'로 나오는 사람으로, 유협(遊俠; 무사)의 무리였다. 악정씨(樂正氏)는 《맹자》에 '악정자(樂正子)'로 나오는 맹자 제자를 가리키는 것 같다. 중량씨(仲良氏)는 유래나 계열이 명확하지 않다.
《맹자》〈등문공〉편을 보면, 초나라에 허행(許行)을 중심으로 진상(陳相) 등의 무리가 공자의 학설을 따랐다. 이들은 공자가 초나라에 갔을 때 형성된 유가 그룹인 것 같다. 이들 초나라 그룹의 유자 계열 가운데 후대에 유명한 사람이 《초사》를 쓴 굴원이다.
또한 연나라 임금 쾌(噲)가 재상 자지(子之)에게 군주 자리를 물려주는 선양(禪讓)을 했다. 맹자나 순자가 이상적인 통치로 강조했던 것을 연나라에서 실행한 것이다. 그 선양의 결과 반란이 일어나고 쾌와 자지 등은 모두 비극적으로 살해되었다. 이들 역시 유가 학설을 실천한 사람들이다.
초나라와 연나라의 이 두 계열은 《한비자》〈현학〉편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
진시황의 스승이자 재상이었던 여불위가 《여씨춘추》를 편찬했다. 이 책은 제자백가의 사상을 종합한 것이지만, 기본적으로는 유가적인 통치를 주장했다. 진시황은 법가의 부국강병책에 따라 7국을 통일하려 했다. 반면 《여씨춘추》는 1년을 12달로 나누어 각 달마다 해야 할 일을 기록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진시황이 확장을 주장했다면, 《여씨춘추》는 안정과 조화를 주장했다. 진시황의 법가 노선과 여불위의 유가 노선이 충돌했고, 결국 진시황은 여불위를 죽였다. 이 대립에서 진나라에 미친 유가의 영향을 알 수 있다.
4. 유교의 발전과 영향
공자 사후, 그의 제자들은 여러 파로 나뉘었다. 《한비자》 〈현학편〉에 따르면, 유가는 자장, 자사, 안씨(顔氏), 맹씨(孟氏), 칠조(漆雕), 중량씨(仲良氏), 손씨(孫氏), 악정씨(樂正氏) 등 8파(八派)로 분열되었다.[42]
《맹자》 [공손추] 편에는 자하, 자장, 자유가 유약을 스승으로 모시려 하자 증자가 반대했다는 기록이 있다. 유약은 예를 중시했고, 증자는 인격을 닦는 것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이 8파는 다시 증자 중심의 '''내성파'''와 자유, 자하 중심의 '''숭례파'''로 나뉘었다.[42] 맹자는 증자의 계열을, 순자는 자하 계열을 계승했다. 8파 중 맹씨는 맹자, 손씨는 순자를 가리킨다.
안씨는 공자의 제자 안회를, 칠조는 유협(무사) 무리였던 칠조개를 가리킨다. 악정씨는 맹자의 제자 악정자로 추정된다. 중량씨는 계열이 불분명하다.
《맹자》 〈등문공〉편에는 초나라에 허행, 진상 등의 무리가 공자의 학설을 따랐다는 기록이 있다. 이들은 공자가 초나라에 갔을 때 형성된 유가 그룹으로, 훗날 《초사》를 쓴 굴원이 이 계열에 속한다.
연나라에서는 연왕 쾌가 재상 자지에게 왕위를 물려주는 선양을 시행했다. 이는 맹자와 순자가 이상적인 통치로 강조했던 것이지만, 반란으로 인해 쾌와 자지 모두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했다.
초나라와 연나라의 유가 계열은 《한비자》 〈현학편〉에는 기록되지 않았다.
진시황의 스승 여불위는 《여씨춘추》를 편찬하여 유가적 통치를 주장했다. 그러나 진시황은 법가 노선을 따랐고, 결국 여불위를 죽였다. 이는 진나라에서 유가와 법가의 대립을 보여준다.
증자(기원전 505~435)는 공자 사후 유가의 유력한 지도자로, 공자의 '인(仁)' 사상을 바탕으로 효를 중시했다. 그의 사상은 공자의 손자 자사(기원전 483?~402?)에게 이어졌다.
자사는 "천"이라는 종교적 관념을 바탕으로 인간의 존재와 도덕을 "성(誠)"이라 칭하고, 이를 철학의 중심에 두었다.
자사의 학통을 계승한 맹자(기원전 372?~289?)는 인과 의를 주장하고, 성선설을 통해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보았다. 맹자의 정치론은 봉건적 지배체제 유지를 목표로 했다.
송나라(960~1279) 시대에는 공자, 증자, 자사, 맹자의 계보가 중시되어 사서(논어, 대학, 중용, 맹자)가 성립되었다.
자유와 자하의 파는 예라는 외적 규범을 중시했다.
순자(기원전 298?~238?)는 자사와 맹자를 비판하고, 자궁(자유)의 학통을 이어받아 성악설을 주장하며 예를 강조했다.
순자는 성악설에 따라 예를 법에 접근시켜 국가 통치의 원리로 삼았다.[43] 예와 법을 동일시하여 법가 성립의 근거를 제공했다.[44] 법가 사상가 이사와 한비자는 순자의 문하생이었다.[43]
순자의 사상은 송나라 성리학 학풍에서는 이단으로 취급되었으나, 근래에 재평가받고 있다.
참조
[1]
문서
Legge 112
[2]
서적
Modern Chinese Religion I (2 vol.set): Song-Liao-Jin-Yuan (960–1368 AD)
https://books.google[...]
BRILL
2014-12-08
[3]
문서
Legge 112–113
[4]
문서
Legge 113
[5]
문서
Legge 113–114
[6]
문서
Legge 16
[7]
문서
Legge 114
[8]
문서
Sligerland 41
[9]
문서
Sligerland 42
[10]
문서
Slingerland 18–19
[11]
문서
Slingerland 31
[12]
문서
Chin 2008:77–78.
[13]
문서
Legge 114–115
[14]
문서
Sligerland 41–42
[15]
문서
Chin 2008:81–82.
[16]
문서
Legge 115
[17]
문서
Legge 115–116
[18]
문서
Slingerland 7
[19]
문서
Slingerland 40
[20]
문서
Legge 116
[21]
문서
Legge 116–117
[22]
문서
Legge 117
[23]
문서
Legge 117–118
[24]
문서
Legge 118
[25]
문서
Legge 118–119
[26]
문서
Legge 119
[27]
문서
Slingerland 39
[28]
문서
Legge 119–120
[29]
문서
Legge 120
[30]
문서
Legge 120–121
[31]
문서
Legge 121
[32]
문서
Legge 121–122
[33]
문서
Legge 122
[34]
서적
史记
中国哲学书电子化计划
[35]
문서
ただし、『[[史記索隠]]』によれば『[[孔子家語]]』でも77人があげられていたという
[36]
서적
孔子家語によると、名前は顔刻で孔子より50歳年少。
[37]
서적
孔子家語によると、名前は漆雕従で字は子文。
[38]
서적
孔子家語によると、字は子秀。
[39]
서적
孔子家語によると、字は不慈で孔子より4歳年少。
[40]
서적
孔子家語によると、孔子より50歳年少。
[41]
웹사이트
칠십자 (七十子)
https://terms.naver.[...]
2011-06-24
[42]
백과사전
세계사 > 인류 문화의 시작 > 도시국가와 춘추전국시대 > 전국시대의 제자백가 > 유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43]
백과사전
세계사 > 인류 문화의 시작 > 도시국가와 춘추전국시대 > 전국시대의 제자백가 > 순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44]
백과사전
세계사 > 인류 문화의 시작 > 도시국가와 춘추전국시대 > 전국시대의 제자백가 > 순자의 성악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